사랑은 여전히 연습 중입니다
감정은 타오르고 식지만, 사랑은 여전히 배우는 중입니다.
사랑에는 설명서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배우지 않아도 되는 건 아닙니다. 누구나 사랑을 느끼지만, 누구나 사랑을 유지하지는 못하죠. 그래서 일까요 필자는 최근 헤어지고 다시금 초심으로 사랑에 대해서 복습하곤 하는데요. 복습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책들의 저자를 쉬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에리히 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행위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알랭 드 보통은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에서 사랑이란 “불완전한 사람과 살아가는 기술”이라 했고, 벨 훅스는 『All About Love』에서 사랑은 “정의와 진실의 실천”이라 선언했습니다. 세 사람은 공통적으로 말합니다. 사랑은 감정의 일이 아니라 태도의 일이다. 감정은 불꽃처럼 타오르지만, 태도는 재처럼 남습니다. 어쩌면 사랑의 초심이란, 다시 타오르는 불보다 서서히 식지 않는 온도를 지키는 일인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누구나 사랑에 서툽니다. 그러니까 괜찮습니다. 서툴다는 건, 아직 배우고 있다는 뜻이니까요.
에리히 프롬 — 사랑은 배워야 하는 기술

에리히 프롬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행위이다. 사랑은 지속적인 관심과 헌신의 표현이다.” 그에게 사랑은 ‘자연스러운 감정’이 아니라, 노력과 훈련, 자각을 통해 길러야 하는 하나의 기술(art)이었습니다. 그가 제시한 사랑의 네 가지 요소 — 돌봄, 책임, 존중, 지식 — 은 오늘날 ‘사랑의 초심’을 정의하는 핵심 문장처럼 남습니다.저자는 “사랑은 상대의 존재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스스로 성장하도록 돕는 일”이라 말합니다. 하지만 현실의 사랑은 종종 그 반대로 흐릅니다. 소유와 의심, 통제와 불안. “사랑은 자유를 주는 일”이라는 문장이, 요즘엔 조금 낯설게 들릴 정도로요. 사랑의 초심은 감정이 아니라 태도를 연습하는 마음에서 시작됩니다. 좋을 때만 사랑하는 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진짜 사랑은, 서운한 순간에도 그 마음을 지키는 일입니다. 매일 조금씩 연습하고, 자주 틀리고, 가끔은 지치는 일. 그러나 그 연습이 쌓여서 관계는 조금씩 단단해집니다. 사랑은 피아노와 같습니다. 누구나 첫 음은 칠 수 있지만, 끝까지 연주하려면 손끝의 리듬을 익혀야 하죠. 감정은 첫 소절이고, 기술은 마지막 음표입니다.
알랭 드 보통 — 사랑은 현실을 견디는 용기

알랭 드 보통은 말합니다. “사랑은 완벽한 사람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불완전함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일이다.” 그의 문장은 마치 연애의 환상을 천천히 해체하는 칼날 같습니다. 사랑은 낭만이 아니라, 불완전함과의 동거입니다. 상대의 결점은 언젠가 발견됩니다. 문제는 그때입니다. 그 결점을 바라보며 도망치지 않는 용기, 그게 드 보통이 말하는 ‘성숙한 사랑’의 시작입니다.『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의 인물들은 늘 사랑을 오해합니다. 그들은 상대에게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기대하고, 사랑이 모든 결핍을 채워줄 거라 믿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깨닫습니다. 사랑은 완성이 아니라 조율이라는 걸요. 그래서 저자는 말합니다. “사랑은 이상이 아니라, 함께 버티는 현실의 기술이다.” 사랑의 초심을 지킨다는 건, 처음의 열정을 복원하는 일이 아니라 서로의 불완전함을 함께 견디는 용기입니다. “오늘도 괜찮을 거야” 대신, “그래도 옆에 있을게.” 그게 현실적인 사랑의 언어입니다. 물론, 현실적인 사랑이 낭만이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 현실이 낭만의 무게를 더 견고하게 만들어줍니다. 하루의 끝, 서로의 피곤한 표정을 보며도 미소 짓는 일. 그게 사랑의 기술이자 초심의 모양입니다.
벨 훅스 — 사랑은 의지이자 윤리

벨 훅스는 『All About Love』에서 단언합니다. “Love is as love does. Love is an act of will — both an intention and an action.” 그녀는 사랑을 감정이 아니라 의지의 실천으로 봅니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선택이고, 그 선택이 쌓일 때 관계는 윤리가 됩니다.그녀는 이렇게도 말합니다. “사랑은 정의와 진실의 실천이다.” 사랑이란 타인을 통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신을 통해 타인을 조금 더 존중하게 되는 일입니다. 그건 연애뿐 아니라, 가족과 친구, 사회에 대한 태도이기도 합니다. 훅스의 사랑론은 결국 ‘책임의 확장’입니다. 우리가 사랑의 초심을 잃는 순간은, 대개 ‘나만 힘들다’ 고 느낄 때입니다. 하지만 사랑은 감정의 교환이 아니라 돌봄의 윤리입니다. 사랑의 초심이란, 내가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사실이 곧 “세상과 다시 연결되는 일”임을 기억하는 태도입니다.
사랑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이별은 야속하게만 빠르고, 오해는 쉽고, 감정은 변덕스럽습니다. 그래서 사랑은 기술이어야 하고, 현실이며, 윤리여야 합니다. 이걸 헤어지기 전에 알았다면 지금 현재 고독을 안주 삼아 술을 걸치며 노트북을 두드리고 조마조마하게 마감일을 지키지 않아도 되었으련만은! 프롬의 기술, 드 보통의 현실, 훅스의 윤리. 세 사람의 언어는 결국 같은 자리에 닿습니다. 사랑의 초심이란, 끝까지 배우려는 마음입니다. 완벽하려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사랑은 매번 처음처럼 서툴게, 매번 다르게 연습되는 일입니다. 감정이 사라져도 남는 것은 태도입니다. 그리고 그 태도 안에는 여전히, 누군가를 이해하려는 당신의 다정함이 있습니다. 사랑은 어렵지만,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다만, 연습이 필요할 뿐이죠.